근로소득은 당장의 수익률은 좋지만 성장성이 없어 큰돈을 불러들이지 못한다.
수익률은 매우 떨어지더라도 잠재된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는 수익에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그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은 길고 고난하고 험난하지만 큰돈을 버는 사람들은 결국 이 성장성에 주목하는 사람들이다.
직장에서 돈을 벌어 5천만원 또는 1억원등의 목돈을 모아서 무언가에 투자하여 자본으로 경제적인 자유를 얻다는 말은 많지만 실상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모아둔 돈을 투자해두고 나면 수중에 돈이 없어 다시 돈을 버는 일상으로 돌아가고 삶은 여전히 크게 바뀌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소한 30억 정도는 있어야 삶이 바뀐다고 생각한다
신사임당 유튜브 채널을 운영할 때 스마트스토어의 채널을 공개하여 20만뷰의 조회수를 얻었고 그로 인해 50만원의 매출이 발생한적이 있다.
20만뷰의 조회수는 스마트스토어 방문자 5천명을 만들고 5천명 중 50명이 만원짜리 꽃병 50개를 구입하여 50만원 매출이 발생하였다.
유튜브를 해서 50만원의 수익을 얻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이지만 이 수익은 '수익률' 뿐만 아니라 '성장률' 이라는 것이 잠재되어있었다.
큰 돈을 벌려면 이 수익률, 성장률을 모두 가진 수입이어야 한다. 직장 월급 또는 은행이자는 수익률만 있고 성장률은 매우 낮다.
신사임당 유튜브 채널 시청자는 스마트스토어를 하고 싶은 사람들이지 꽃병을 원하는 구매자는 아니기 때문에 그 결을 같이 해주기 위해 클래스101에 스마트스토어 강의를 열었다.
10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그것을 클래스101 플랫폼과 5:5로 분배하여 50억원의 수입을 얻게 되었다.
스마트스토어 50만원의 매출은 50억원의 수입을 가져온것과 같은 잠재적인 성장률을 안고 있었다.
잠재적인 성장률을 가진 수입에 대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현재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등이 있어서 시스템을 만드는데 비용이 들지도 않는다.
근로소득은 성장률이 없기 때문에 큰 돈을 벌 수 없다. 그러나 수익률은 있기 때문에 당장의 소득은 얻을 수 있다.
돈을 쫓지만 이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는 사람들의 이유는 2가지. 생각의 패러다임을 바꾸는게 어렵고, 만약 그것을 바꾸더라도 실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행하는 동안 수입률은 근로소득보다 비효율적이고 남들의 멸시, 내안에 올라오는 시기심, 질투심등을 견뎌내야 하는 시간이 최소 1년은 걸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들을 견뎌내고 주변 사람들과 정보를 교류하고 학습하는 사람들이 끝내 큰 돈을 번다.
댓글 0개
댓글 추가...